<p></p><br /><br />노랗게 물든 은행잎이 계절이 바뀐 걸 실감하게 하죠. <br> <br>하지만 바닥에 떨어진 은행 열매에서 풍기는 악취는 가을철 불청객인데요.<br><br><br> <br>시민들 중엔 올해는 예년보다 거리에 은행 악취가 덜한 것 같다고 하시는 분들이 많다는데, 근거가 있는지 확인해봅니다.<br><br><br> <br>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적어도 서울에선 은행 열매 악취 민원, 지난해의 절반 수준으로 크게 줄어들었습니다. <br> <br>은행 열매껍질이 터지면 끈끈한 점액질 형태의 빌로볼과 은행산 성분이 흘러나와 고약한 냄새를 풍기는데요.<br><br> <br><br>그래서 서울시도 올해 9월부터 은행 수확에 들어갔습니다. <br> <br>9월 초 찍은 작업 영상을 보시면, 구청 직원들이 긴 막대로 가지를 툭툭 치자 바닥에 은행 열매가 수북이 쌓인 걸 볼 수 있습니다 <br> <br>예년 이맘때도 늘 하던 일이지만 올해는 달라진 게 있습니다.<br><br><br> <br>호두나무에서 호두를 딸 때 쓰는 진동 수확기를 은행 열매 따기에 활용한 겁니다. <br> <br>일단 수확 시간이 크게 줄었습니다.<br><br> <br><br>한 그루당 두세 명씩 달라붙어 30분씩 하던 일을 이 기계 덕분에 10분이면 마친다고 합니다. <br> <br>[서울시 조경관리과 관계자] <br>"진동수확기는 1분에 몇백 번 진동이 가는 거여서. 1분 내로 다 털어버리니까. 옛날에는 한 달 반 동안 털었다면 지금은 뭐 2주?" <br> <br>작업 속도가 빨라지면서 열매가 자연적으로 떨어져 악취를 풍기기 전에 상당량을 거둘 수 있었던 건데요.<br><br><br> <br>전국에 심은 가로수 가운데 은행나무는 103만 그루로 단일 품종으론 비중이 가장 높았습니다. <br> <br>은행나무 중에선 열매가 열리는 암나무 비율이 23% 정도인데요. <br> <br>과거엔 은행나무의 성별을 구분하기 어려워 암수나무를 섞어 심었습니다. <br> <br>지금은 국립산림과학원이 어린 은행나무의 DNA를 분석해 수나무만 구별하는 기술을 전수하고 있다고 하니 가을철 불청객인 은행 악취는 점차 줄어들 전망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팩트맨이었습니다. <br><br>연출·편집 : 황진선 PD <br>구성 : 박지연 작가 <br>그래픽 : 성정우 조나영 디자이너<br /><br /><br />권솔 기자 kwonsol@donga.com